주식을 해보신 분이라면 차트를 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상하로 오르락 내리락하는 그래프 로 주식인들의 주머니를 쥐락펴락 하고 있지요. 요즘은 비트코인 을 사는 분들이 시세 그래프 를 분석하시면서 투자를 하시는 분들이 늘고 있습니다.
그나마 주식에서는 장마감이라는 개념이 존재합니다. 일반 오프라인 시장이나 마트의 개념과 비슷하죠. 아침이 되면 장사를 시작하게 되고 마감시간이 되면 모든 장사가 종료하게 됩니다. 주식 역시 9시에 시작하여 3시가 되면 장마감이 됩니다. 마감이 되면 당일 종가가 결정되게 됩니다. 하지만 비트코인 의 시장에서는 장마감이라는 개념이 존재 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단타를 노리시는 분들이라면 거의 시세 그래프 에 눈을 떼지 못할 수 있습니다. 언제 어떻게 시세가 변동 될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상당히 까다롭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래프 를 보는 법을 익혀놓으시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시시때때로 변동하는 코인 시장이면서 어떻게 분석을 할 수 있단 말인가? 아래에서 확인하시죠.
비트코인 시세 그래프 분석 방법
우선 코인거래소에서 확인할 수 있는 코인 동향으로 파악하실 수 있는데 빨간색 봉과 파란색 봉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개념을 '캔들' 이라고 칭합니다. 빨간 봉을 양봉, 파란 봉을 음봉 이라고 칭합니다. 당연히 빨간색은 금지, 부정의 개념을 담고 있다고 생각될지 모르지만 반대로 시세의 상승을 의미하는 상승구간을 가리킵니다. 파란 봉은 반대로 시세의 하락 구간을 가리키겠지요. 상승세를 띄면 빨간 봉인 양봉이 하락세라면 파란 봉인 음봉이 계속 나타나게 됩니다.
캔들의 개념이 어느정도 파악되셨나요? 양봉의 맨 머리부분은 종가, 바닥부분을 시가로 칭합니다. 음봉은 반대로 머리부분을 시가, 아래부분을 종가로 칭하게 됩니다. 투자자들은 양봉을 더 환영하게 되겠지요? 양봉과 음봉의 연장선인 시가와 종가를 잘 확인하고 이평선의 움직임을 확인하면서 매도와 매수의 타이밍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평선이란 m 기간 동안의 시세 평균을 의미합니다.
캔들봉과 이평선의 움직임을 확인하시면 현재의 시세가 이득을 나타내는지 손해를 보는지 알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오늘의 시세가 m 평균 기간 동안의 이평선보다 위에 있게되면 투자자들은 현재 이득을 보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반대로 오늘의 시세가 이평선과 가까워지면 손해를 보게되는 시점이 가까워지기 때문에 매수가격을 낮추기 위해 순간 매수량이 늘게 되면 그래프가 반등하게 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또는 손해를 막기위해서 순간적으로 급매도를 하게되면 급락하게 되는 시세 그래프 를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볼린저 밴드를 활용하여 상단에 있는 그래프를 어느날의 양봉이 건드리는 순간 높은 확률로 시세가 급등하게 되는 경우가 있으니 분석하는 간단한 방식이라도 아신다면 큰 도움이 되실 겁니다.
관련 유용 사이트 모음 3가지
1. Coinmarketcap : 이 사이트는 어느 사이트에서 어떤 코인이 거래되고 있는지까지 확인할 수 있는 베스트 1위 사이트
2. Poloniex : 실시간으로 등락율을 볼 수 있으며 렌딩기능과 마진트레이딩 기능을 갖추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3. Bitcoincharts
'재무설계 X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립토피아 가입 방법 그리고 입금 출금 총정리 (0) | 2018.06.19 |
---|---|
캐셔레스트 거래소 사태 대응 (0) | 2018.06.19 |
에이다 코인 그리고 전망 (0) | 2018.06.17 |
비트코인이란 무엇일까? (0) | 2018.06.16 |
학습지 교사 얼마나 벌 수 있을까? (0) | 2018.06.16 |